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 Celadon Flower-shaped Dish with Lotus Pond and Fish Design in Relief , 靑磁 陽刻蓮池魚文 花形 楪匙 ]

요약 고려시대(12세기)의 청자 접시. 1990년 5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0년 5월 21일
소장 삼성미술관 리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3.9cm, 입지름 16.1cm, 밑지름 6.1cm

1990년 5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9cm, 입지름 16.1cm, 밑지름 6.1cm이다. 

각이 진 몸체에 구연(口緣) 화형(花形)으로 6곳에 홈을 돌린 예리한 모습의 각접시이다. 문양으로는 내면 바닥에 연못 속에 노니는 물고기를, 내측면 6면에는 각각 연꽃과 갈대 등 연못의 전경을 양각으로 정교하게 나타내었으며, 외면은 무(無)무늬이다. 유색은 담녹청색의 은은한 비색청자유(翡色靑瓷釉)로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다. 굽은 낮고 작으며, 내화토(耐火土) 받침으로 얇게 받쳐 구운 흔적이 6곳에 남아 있다.

압출양각(押出陽刻)의 문양수법과 맑은 비색 청자유색, 그리고 단정하면서 예리한 형태로 보아서 12세기 중반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大口面) 사당리(沙堂里) 가마에서 제작된 작품의 하나로 추정된다. 그리고 아가리에 수리한 흔적이 일부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