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어룡형 주전자

청자 어룡형 주전자

[ Celadon Ewer in the Shape of a Fish-dragon , 靑磁 魚龍形 注子 ]

요약 고려시대 청자 주전자.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청자사자뉴개향로

청자사자뉴개향로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24.4cm, 몸통지름 13.5c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4.4cm, 몸통지름 13.5cm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용두어신(龍頭魚身)처럼 보이는 일종의 물고기를 형상한 몸체에 연경(蓮莖) 모양의 손잡이를 단 주전자이다.

귀때부리는 어두(魚頭)를 닮았고, 어미(魚尾) 부분은 주전자의 뚜껑이며, 날개 모양으로 된 2개의 큰 지느러미가 머리 밑에 달려 있다. 이러한 물고기 모양은 옛날부터 화재 예방의 상징으로 건물의 용마루 끝에 장식하는 치미(鴟  尾)와 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

상형청자 중에서도 기발하게 구상된 작품이며 비취옥색(翡翠玉色)의 유약(釉藥)과 정선한 바탕흙이 잘 혼합되었고, 지느러미와 꼬리 끝에는 백토(白土)로 된 점과 선을 퇴화(堆花)하였다. 이 밖에도 음각선으로 지느러미의 연골(軟骨), 그리고 앙련좌(仰蓮座)의 표현은 양각으로 능숙하게 처리했다. 이러한 상형청자의 우수한 파편은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요지(窯址) 조사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