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인양사 조성비

창녕 인양사 조성비

[ Stele for the Construction of Inyangsa Temple, Changnyeong , 昌寧 仁陽寺 造成碑 ]

요약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비.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창녕 인양사 조성비

창녕 인양사 조성비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294번지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크기 높이 1.58m, 쪽 48cm, 두께 18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58m, 폭 48cm, 두께 18cm, 재료는 화강석이다.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생략하고 장방형 대석과 옥개형(屋蓋形) 개석(蓋石)을 가진 이례적인 석비이다. 표면과 양측면에 각자(刻字)를 했는데 모두 해서(楷書)이며, 뒷면에는 똑바로 선 승상(僧像) 1구가 조각되었다.

문면에는 비석의 제목은 없이 ‘元和五年庚寅六月三日∥表何飡…(원화오년경인유월삼일∥표하찬…)’으로 시작되는 글이 새겨져 있는데, 원화 5년은 비석을 세운 해로 810년(헌덕왕 2)에 해당한다. 전문이 인양사(仁陽寺)와 관련된 절 안의 범종·탑·금당·요사(寮舍)의 조성 연기 등을 기록한 것이며, 771년(혜공왕 7)부터 810년까지 약 40년간의 기사이다.

금석문(金石文)으로서뿐만 아니라 연대가 확실한 불상 조각으로서도 귀중한 유물이다.

참조항목

금석문, 비석

역참조항목

창녕읍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