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세균류

진정세균류

[ Eubacteriales , 眞正細菌類 ]

요약 세균문 진정세균강(Eubacteromycetes)의 한 목(目)으로서, 분류학상으로는 13과(科)로 구분된다. 지구상에 널리 분포하며 물질대사나 인간생활과 관계가 깊다.

분류학상으로는 다음 13과(科)로 구분되며, 지구상에 널리 분포하며 물질대사나 인간생활과 관계가 깊다.

⑴ 아조토박테리아과: 그람음성균이며 식물과 공생하지 않고 땅속에서 독립적으로 공중질소를 고정시킨다. 아조토박터속(Azotobacter) 1속으로 이루어진다.

⑵ 리조비움과: 식물과 공생하여 근립(根粒)을 형성해서 공중질소를 고정시키는 리조비움(Rhizobium)이 있다. 아조토박터와 함께 농업생산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

⑶ 아크로모박테리아과: 그람음성균이며, 당류의 발효능을 약간 가진다. 물이나 땅속에서 번식한다. 알칼리게네스속·아크로모박터속·플라보박테리움속·아가박테리움속(한천분해균)·베네케에아(키틴분해균) 등이 포함된다.

⑷ 엔테로박테리아과: 그람음성균이고, 당류를 잘 발효시키며, 장관(腸管) 내에 번식하는 것이 많다. 대장균(Escherichia coli: E.coli), 앵무병감염균(Aerobacter aerogenes) 및 이들의 근연세균은 대장균군(coliaerogenes group)이라고 불리며 식품위생상 중요하다. 살모넬라속(Salmonella)에는 티푸스·파라티푸스 등의 병원균이 있고, 시겔라속(Shigella)은 적리균이 포함되는데 운동성이 없는 점에서 살모넬라나 대장균과 달리 포유류의 장관 내에만 분포한다. 세라티아속(Serratia)에는 선홍색인 영균(靈菌: S. marcescens)이 있다. 프로테우스속(Proteus)은 요소를 분해한다. 에르위니아속(Erwinia)에는 식물병원균이 많다.

⑸ 브루셀라과: 그람음성균이며, 생육하기 위해서 동물의 체액을 필요로 하는 기생균이다. 페스트균·인플루엔자균·백일해균 등이 있고, 또 브루셀라속(Brucella)에는 가축의 병원균이 많다.

⑹ 박테로이데스과: 그람음성균이며, 혐기성 또는 약간 호기성인 간균(桿菌)이다. 박테로이데스속(Bacteroides)이나 푸소박테리움속(Fusobacterium)에는 병원균이 있다.

⑺ 미크로코쿠스과: 그람양성균이며, 미크로코쿠스속(Micrococcus)·팔연구균속(Sarcina)·황색포도상구균 등이 포함된다.

⑻ 나이세리아과: 그람음성균이며, 임균(淋菌: Neisseria gonorrhoea)·골막염균(N. meningitidis) 등의 병원체가 포함된다.

⑼ 브레비박테리아과: 그람양성균인 단간균(短桿菌)이며, 포자를 만들지 않는다. 글루탐산을 비롯하여 각종 아미노산 발효공업에 사용되는 유용균이 많다.

⑽ 코리네박테리아과: 그람양성균이며, 호기성이고 비운동성인 간균이다. 세포는 분기하거나 다형변태를 보인다. 디프테리아균이나 식물병원균 등 기생균이 많다.

⑾ 락토바실루스과: 그람양성균이며, 혐기성이고 비운동성인 간균이다. 젖산 발효능이 있어 발효공업상 중요한 종류가 많다. 젖산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treptococcus lactis)은 낙농제품·양조식품·김치 등에 유용하다. 화농성 연쇄구균(S. pyogenes)·폐렴쌍구균(Diplococcus pneumoniae) 등도 포함된다.

⑿ 프로피오니박테리아과: 그람양성균이며, 비운동성인 간균이다. 탄수화물로부터 프로피온산·아세트산 등을 생성한다.

⒀ 바실루스과: 그람양성균이며, 대부분이 운동성이 있고 포자를 형성하는 간균이다. 바실루스속(Bacillus)은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通性嫌氣性)이며, 고초균(枯草菌: B. subtilis)·나토균(B. natto)과 같이 당화효소의 생산 등 미생물 이용공업에 유용한 것이 있는 한편, 탄저균(炭疽菌: B. anthracis) 등 초식동물의 병원균이 되는 것도 있다. 곤충에 기생하는 바실루스 튜링기엔시스(B. thuringiensis) 등은 생물농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클로스트리디움속(Clostridium)은 혐기성이며 운동성인 간균으로, 내열성 포자를 형성한다. 아세톤뷰탄올균(C. acetobutylicum)은 탄수화물을 발효시켜 아세톤이나 뷰탄올을 생성한다. 뷰티르산균(C. butyricum)은 뷰티르산발효를 한다. 보툴리누스균(C. botulinum)은 보툴리누스중독의 원인균이고, 파상풍균(C. tetani)은 신경독을 생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