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위대

진위대

[ 鎭衛隊 ]

요약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1895년(고종 32) 9월 지방의 질서유지와 변경수비를 목적으로 설치된 근대적 지방군대.

1895년 김홍집(金弘集)내각은 9월에 육군편제강령을 반포, 훈련대를 해산하고 육군을 중앙의 친위대(親衛隊)·시위대(侍衛隊) 연대와 지방의 진위대로 재편하였다.

진위대는 1895년 칙령(勅令) 172호에 의해 평양과 전주에 각각 1개 대대를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1900년 9월 원수부의 명으로 진위대와 지방대를 합쳐 전국을 6개연대로 재편하고 이어 제주진위대를 증설함으로써 전국적 편성을 완성하였다.

각 연대에는 연대본부와 3개 대대를 두었는데, 제6연대에 2개 대대를, 제4연대와 제주진위대에는 1개 대대만을 두었다. 그리고 1개 대대는 2개 중대로 편제되었다. 또 각 연대본부(제1, 2, 3대대본부)가 설치된 곳은, 제1연대는 강화(강화, 인천, 황주), 제2연대는 수원(수원, 청주, 전주), 제3연대는 대구(대구, 진주, 경주), 제4연대는 평양, 제5연대는 북청(덕원, 북청, 경성), 제6연대는 의주(의주, 강계) 등이었다. 당시 1개 연대가 3,000여 명으로 편제되어, 전체 지방군은 약 2만 명 정도였다.

이러한 진위대 편제는 러일전쟁 뒤 일제에 의하여 18개 대대에서 8개 대대로 감축되었다가, 1907년 8월 결국 강제해산되었다. 그러나 일부 해산 군인들은 일제에 항거, 후기 의병에 가담함으로써 의병전쟁의 발전과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참조항목

갑오개혁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