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학회

진단학회

[ 震檀學會 ]

요약 1934년 한국의 역사·언어·문학 및 주변국의 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조직한 학술단체.
구분 민간학술단체
설립일 1934년 05월 07일
설립목적 한국의 역사·언어·문학 연구
주요활동/업무 학술지·계간지 발간, 역사 연구
소재지 서울

일제의 한국 강점 이후 우리의 독자적인 한국학 연구가 미진하였고, 오히려 일본의 한국 연구가 보다 활발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모두 일본어로 발표되어 일본인들이 한국문화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더 많이 소유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그리하여 한국의 지식인들이 한국 및 주변국의 문화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조직한(1934. 5. 7) 학술단체가 진단학회(震檀學會)이다.

학회의 발기인으로는 이병도(李丙燾)·고유섭(高裕燮)·김두헌(金斗憲)·김상기(金庠基) ·김윤경(金允經)·김태준(金台俊)·김효경(金孝敬)·이병기(李秉岐)·이상백(李相佰)·이선근(李瑄根)·이윤재(李允宰)·이은상(李殷相)·이재욱(李在郁)·이희승(李熙昇)·문일평(文一平)·박문규(朴文圭)·백낙준(白樂濬)·손진태(孫晋泰)·송석하(宋錫夏)·신석호(申奭鎬)·우호익(禹浩翊)·조윤제(趙潤濟)·최현배(崔鉉培)·홍순혁(洪淳赫) 등이었다. 그 가운데, 이병도·이윤재·이희승·손진태·조윤제 등이 위원으로 선출되어 실무를 맡아 사업을 추진하였다.
 
학회의 회칙에 학회의 목적이 진술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한국은 물론 그 인근 지역의 문화에 대해서도 관심의 영역에 두고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사 연구가 비중을 많이 차지하여, 진단학회는 한국사 연구학회의 인상이 강하였다. 그리고 연간 4회의 학보를 발간하고, 강연회·간담회 및 기타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그 결과 《진단학보》(震檀學報)가 간행되었고, 많은 지식인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의 한국 민족정신 말소정책에 따라 조선어학회(1949년 한글학회로 개칭) 탄압과 함께 역시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두 학회에 대한 탄압은 곧 민족정신을 고양할 수 있는 한국학인 국어와 국사에 대한 탄압으로 인식되었다. 회원 가운데 이윤재·이희승·이병기 등 핵심 인사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갔고, 그 밖에 여러 가지 방향으로 탄압이 이어져 결국 학회활동을 잠정 중단할 수 밖에 없었다.
 
학회는 일제에 대한 항일민족운동이 주목적이 아닌, 순수한 학술연구 단체였기 때문에 광복을 맞아 다시 활동을 재개하였다. 그 동안 중단되었던 학회 활동을 다시 새롭게 출발한다는 취지에서 1945년 8월 31일 재기의 창립총회를 열고 체제를 재편성하여 사단법인으로 출발하였다. 그 결과 진단학회는 일제시대에 창립되어 광복후에도 그 이름과 목적을 그대로 이은 학회가 되었다. 그리고 《진단학보》도 전에 발간한 호수에 이어 계속하여 발간하였다. 광복후 새로운 사업으로는 우리나라 통사서인 《한국사》(韓國史)를 집필 출판하였다(1963. 7 초판발행).

1972년에 회칙을 개정하고 학회 조직을 개편하였다. 새 조직에서는 평의원회가 새롭게 탄생하고 간사진이 구성되었다. 이 조직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학회는 현재 약 500명 정도의 실질적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진단학보》는 연 2회 발간하고 있으며 국내 최고 수준의 논문이 게재되고 있다. 그리고 연 2회의 학술발표회를 갖는데, 한국 고전의 가치를 새롭게 평가하여 민족문화의 전통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 밖의 활동으로 학술연구를 장려하기 위하여, 두계학술상(斗溪學術賞  이병도의 업적과 학문적 성과를 기념하기 위함)을 제정하고, 한국과 인접지역의 인문·사회과학에 관한 역사적 연구 성과를 2년씩 평가하여 우수자를 시상하고 학술연구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