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붕 초상

주세붕 초상

[ Portrait of Ju Se-bung , 周世鵬 肖像 ]

요약 조선시대의 문신·학자인 주세붕(1495∼1554)의 초상화. 1981년 3월 1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주세붕 초상

주세붕 초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1년 3월 18일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내죽리)
시대 조선 중종 37년(1543)
종류/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크기 가로 62.5cm, 세로 134cm

1981년 3월 1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주세붕의 좌안팔분면 반신상(左顔八分面半身像)이다.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소수서원(紹修書院)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주세붕은 1522년(중종 17) 별시문과 을과에 급제하고 여러 벼슬을 거친 뒤 1541년 풍기군수(豊基郡守)가 되어 이듬해 백운동(白雲洞)에 안향(安珦)의 사당 회헌사(晦軒祠)를 세우고, 1543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지금의 소수서원)을 설립하였다.

사모관대의 정장 관복을 입은 모습을 그린 초상화이다. 화면 위에는 여백을 두고 아래로 인물의 상반신을 크게 배치하였는데 왼쪽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다. 그림은 가로 62.5㎝, 세로 134㎝의 견본채색화(絹本彩色畵)이다. 간략한 선으로 얼굴을 묘사하였고, 몸체는 풍만하게 표현하였다. 작품을 제작한 연대와 작가는 알 수 없으나, 화면의 퇴색된 정도와 옛 격식의 필법으로 보아 조선 중기에 그린 그림으로 추정된다. 이 초상화는 주세붕의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의 바탕이 된 것으로 보인다.

주세붕의 초상화는 소수서원 창설에 힘쓴 그의 공로를 기리기 위해 안문성공묘(安文成公廟)에 위패를 배향하고 영정도 함께 소수서원에 봉안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초상화는 반신상으로 복식(服飾)의 특징과 안면을 표현한 필법에서 16세기 초상화의 양식을 나타낸다.

역참조항목

순흥면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주세붕 영정각

주세붕 영정각 주세붕의 영정이 모셔진 영정각.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