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

정용

[ 精勇 ]

요약 고려시대 중앙군인 육위(六衛)와 지방군인 주현군(州縣軍)에 있었던 부대조직.

육위에는 좌우위(左右衛) 3령(領), 신호위(神虎衛) 2령, 흥위위(興威衛)에 5령, 금오위(金吾衛)에 6령 등 모두 16령, 16,000명의 정원이 있었고, 주현군에는 오도(五道) 및 경기(京畿)에 약 19,000명, 양계(兩界) 지역에는 초군(抄軍) ·초정용(抄精勇) ·정용 등의 이름으로 약 18,000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육위와 주현군에 각각 배치된 보승(保勝) ·정용의 관계에 대해서는 서로 번상(番上)관계를 이루었다는 견해와 별개로 구성되었다는 견해가 대치되어 있다. 경군의 경우 보승 ·역령(役領) ·상령(常領) ·해령(海領) ·감문령(監門領)과, 주현군의 경우는 보승군 ·일품군 등과 더불어 병종에 따라 구분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 가운데 보승과 정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이들이 시위 ·국방 ·치안 등을 담당하는 주력부대로서 당시 군사력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을 각각 보병과 기병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불명확하다.

참조항목

보승, 일품군

역참조항목

고려의 군사제도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