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룡

정사룡

[ 鄭士龍 ]

요약 조선 전기 문신. 공조판서로 명나라에 다녀와 대제학이 되었으나 과거의 시험문제를 응시자 신사헌에게 누설한 죄로 파직되었다. 그러나 중추부판사로 복직하고, 공조판서가 되었다.
출생-사망 1491 ~ 1570
본관 동래(東萊)
운경(雲卿)
호음(湖陰)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조천일록(朝天日錄)》,《호음잡고(湖陰雜稿)》

본관 동래(東萊). 자 운경(雲卿). 호 호음(湖陰). 1507년(중종 2)에 진사가 됐고, 1509년(중종 4) 생원을 거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514년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1516년 황해도도사(都事)로서 문과중시에 장원하여 사간(司諫)이 되었다. 1523년 부제학을 지낸 후, 1534년 동지사(冬至使)로서 명(明)나라에 다녀왔으며, 1542년 예조판서에 올랐다.

1544년 공조판서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와 1554년(명종 9) 대제학이 되었으나 1558년 과거의 시험문제를 응시자 신사헌(愼思獻)에게 누설한 죄로 파직되었다. 그러나 이 해 중추부판사로 복직하고, 공조판서가 되었다. 1562년 중추부판사에 전임하였으나 이듬해 이량(李樑)이 제거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삭직당했다. 시문 ·음률에 뛰어나고 글씨도 잘 썼으나, 탐학하다는 비난을 받았다. 문집에 《호음잡고(湖陰雜稿)》, 저서로 《조천일록(朝天日錄)》이 있고, 글씨에 〈이둔촌집비(李遁村集碑)〉(廣州)가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