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가신

정가신

[ 鄭可臣 ]

요약 고려 문신. 정당문학으로 사유가 되어 왕세자를 따라 원나라에 다녀오고 이듬해 성절사로서 또 원나라에 다녀와서 첨의찬성사 · 세자이사가 되었다. 문장에 능하여《천추금경록》을 저술한 외에 많은 사명을 지었다.
설재서원

설재서원

출생-사망 1224 ~ 1298
본관 나주
헌지(獻之)
시호 문정(文靖)
별칭 초명 흥(興)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천추금경록(千秋金鏡錄)》

본관 나주. 자 헌지(獻之). 시호 문정(文靖). 초명 흥(興). 어려서 승려 천기(天琪)를 따라 상경한 뒤 고종 때 문과에 급제, 여러 요직을 거쳐 1280년(충렬왕 6) 승지(承旨), 1284년 밀직학사(密直學士), 1287년 감찰대부(監察大夫)·삼사판사(三司判事) 이듬해 밀직사판사를 역임, 1290년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사유(師儒)가 되어 왕세자(王世子:忠宣王)를 따라 원(元)나라에 다녀오고 이듬해 성절사(聖節使)로서 또 원나라에 다녀와서 첨의찬성사(僉議賛成事)·세자이사(世子貳師)가 되었다.

그 후 1298년 사공(司公)·우복야(右僕射)·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 ·감수국사(監修國史)·참지광정(參知光政)·원사(院事)가 되었으며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수사도(守司徒)가 더해졌으나 갑자기 죽었다. 문장에 능하여 《천추금경록(千秋金鏡錄)》을 저술한 외에 많은 사명(辭命)을 지었다. 충선왕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참조항목

금경록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나주 쌍계정

나주 쌍계정 전남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고려 충렬왕 6년에 문정공 정가신이 건립하였다고 한다. 금성산에서 내려온 계곡이 양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쌍계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