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중

절중

[ 折中 ]

요약 통일신라때의 승려로 곡산사(谷山寺)의 주지를 지냈다. 불도의 오의(奧義)를 탐구하고 망언(忘言)의 경지에 다다랐다.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출생-사망 826 ~ 900
통효(通曉)
시호 징효(澄曉)
별칭 탑호 보인(寶印)
활동분야 종교

호 통효(通曉). 시호 징효(澄曉). 탑호 보인(寶印). 휴암(鵂  喦:현 鳳山) 출생. 7세에 출가하여 오관산(五冠山) 진전(珍傳) 밑에서 승려가 되어, 15세에 부석사(浮石寺)에서 화엄학(華嚴學)을 공부하고 19세에 장곡사(長谷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그 뒤, (唐)나라에서 장기간 불법을 닦고 돌아온 도윤(道允)을 풍악(楓岳)으로 찾아가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그 후 자인(慈忍)과 함께 16년간 불도의 오의(奧義)를 탐구하고 망언(忘言)의 경지에 다다랐는데, 882년(헌강왕 8)에는 곡산사(谷山寺)의 주지가 되었다. 이때 그의 도행(道行)을 숭배하는 사자산(獅子山) 석운(釋雲)의 간청으로 흥녕원(興寧院)에 자리를 잡자, 그의 법을 듣고자 비구들이 운집하였으며, 그 명성 때문에 헌강왕 ·정강왕의 숭앙을 받았다.

그 후 잦은 전란을 피해 평진(平津)의 은강선원(銀江禪院)에 머물렀는데, 그때 진성여왕국사(國師)로 삼겠다고 요청해 왔으나, 이미 혼탁해진 세상을 정화(淨化)하기에는 때가 늦었음을 이유로 사양하였다.

역참조항목

도윤, 흥녕선원지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