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부호

전신부호

[ telegraph codes , 電信符號 ]

요약 수송전신(手送電信)이나 자동전신에서 사용되는 모스부호(Morse code)와 인쇄전신에서 사용되는 인쇄기부호(인쇄전신부호).

전신방식에 의한 송수(교신)를 하는 경우에는 전신부호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전류에 의하여 전자석 또는 가동선륜(可動線輪)을 동작시켜 이들에 부합되는 수신장치를 통하여 전신부호를 재현하는 것이다. 모스부호는 수송전신과 자동전신에 사용되고, 인쇄기부호는 인쇄전신에 사용된다.

모스부호는 단점과 장점(단점의 3배 길이)으로 조립되어 한 개의 부호를 형성하며 부호와 부호 사이의 간격은 3 단점으로 되어 있다. 구문의 경우에는 부호 하나하나가 한 자(字)에 해당되며, 글자의 집합인 단어와 단어 사이의 간격이 7단점으로 약정되어 있다.

한글의 경우에는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이 5단점이다. 인쇄기부호는 단위전신의 조립으로 구성되는데, 5단위부호 또는 6단위부호가 있다. 5단위 또는 6단위 중에서 전류가 흐르는 마크(mark)와 전류가 흐르지 않는 스페이스(space)의 배합으로 하나하나의 부호가 형성된다. 한국에서는 5단위 부호만이 사용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