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장

저탄장

[ coal depot , 貯炭場 ]

요약 석탄의 수급조절을 위하여 다량의 석탄을 저장하는 장소.

따라서 그때그때의 수급에 대응하는 능력과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저탄형식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규모의 것은 여러 개의 저탄조(貯炭槽)를 입체적으로 쌓아 놓는 것과, 평지에 다량으로 평면적으로 쌓아 두는 것 등이 있다. 탄광에 저탄하는 경우를 산원저탄, 항만에 저탄하는 경우를 항두저탄(港頭貯炭)이라고 한다. 평지저탄의 경우 석탄 1t당 약 1.2㎡의 저탄장이 필요하고, 자연발화와 분화(粉化)를 방지하기 위하여 쌓아올리는 높이를 제한하기도 한다.

저탄할 때는 저탄했던 석탄을 반출할 때 편의를 생각해야 하고, 또 각 품위(品位)와 입도(粒度)의 편재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항두저탄장은 해상수송과 육상수송의 중계설비로서 입항선의 일시(日時)의 변경, 순서, 탄종의 변경, 기타 수송기관의 이변 등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동시에 해상수송과 육상수송의 균형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저탄장에 설치하는 시설로는 일반적인 크레인·벨트컨베이어·언로더 등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오늘날은 언로더와 지브로더를 조합한 방식이 사용되며, 화력발전소에서도 스크레이퍼불도저를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저탄장의 대형화와 가격저하에 의한 고체수송의 합리화가 이루어진다.

참조항목

선탄장

역참조항목

석탄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