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국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현악기.

본래는 중국의 속악에 쓰이던 13현의 악기였다. 1114년(예종 9) 송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안직숭(安稷崇)이 돌아오는 길에 새 악기와 곡보(曲譜)를 가지고 와서 태묘(太廟)의 제향(祭享)에도 겸용하였는데, 이때 들어온 악기 중에 쟁이 있었다. 그 후 이 악기는 주로 궁중제례(宮中祭禮)에서 당악(唐樂)에만 연주되어 왔으며 다시 15현으로 만들어 대쟁(大箏)이라 불려 왔다. 아쟁(牙箏)도 이 쟁 계통의 악기로 보고 있다. 이 밖에도 《수서(隋書)》에 의하면 백제 때 쟁이 있었고, 《세종실록》에도 1424년 쟁을 새로 제작했다는 기록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