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 Iron Seated Vairocana Buddha and Stone Pedestal of Janggoksa Temple, Cheongyang , 靑陽 長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및 石造臺座 ]

요약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장곡사 상(上)대웅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및 대좌.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길 241, 장곡사 (장곡리)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크기 전체 높이 2.26m, 불상 높이 61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철조 및 화강석으로, 전체 높이 2.26m, 불상 높이 61cm이다. 장곡사에서 소유·관리한다.

나발의 머리에는 작은 육계가 거의 구별할 수 없도록 되었으며, 그 아래 이마는 매우 좁지만 턱으로 내려올수록 가늘어져 삼각형의 얼굴이 되었다. 눈은 바로 떴으며 작은 코, 다문 입들은 수척한 삼각형의 얼굴과 함께 무척 빈약해 보인다. 어깨는 넓지만 결코 당당한 것이 아니며 매우 부자연스럽다. 수척하고 평범한 얼굴, 부자연스러운 자세, 지권인(智拳印), 간략한 옷무늬 처리, 허술한 바른쪽 처리 등 9세기 때 것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대좌는 본시 이 불상의 대좌가 아니라 석등(石燈)의 대좌인데 후대에 이 불상의 대좌가 되었다.

참조항목

대치면, 장곡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 장곡사 상대웅전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과 대좌 보물 제174호 석등의 대석 위에 결가부좌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불상으로 상체와 하체의 비례 등 균형감이 부족하고 작은 크기의 불상이다. 삼각형의 얼굴에 이목구비의 표정이 무표정하고 어색하다. 상체는 짧은 편이고 가슴과 배는 밋밋하게 표현되어 있다. 불상의 두 손은 지권인을 취하고 있으며 석조대좌는 원래의 것이 아니라 석등으로 사용한 것을 가져와 대좌로 썼고 뒤쪽 광배는 조선시대에 목조로 제작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