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버블소자

자기버블소자

[ magnetic bubble device ]

요약 1967년 A.H.보벡이 벨(Bell)연구소에서 발표한 단결정의 자성박막에 자기장을 걸었을 때 생기는 거품모양의 자구를 이용한 컴퓨터의 기억소자이며 포자구소자라고도 한다.

포자구소자(泡磁區素子)라고도 한다. 단결정의 자성박막에 자기장을 걸으면 박막 내에 거품모양으로 보이는 자구(磁區:magnetic domain)가 발생하는데, 이 현상을 이용한 컴퓨터의 기억소자가 자기버블소자이다. 1967년 A.H.보벡이 벨(Bell)연구소에서 발표한 것으로, 논리기능(論理機能)을 가진 대용량의 기억소자로서 주목을 받았다. 화학식 RFeO3 에서 R는 희토류원소, 즉희토류원소와 철원소를 1:1의 비율로 포함하는 산화물 자성재료의 단결정을 얇게 잘라 내어, 이 판에 수직방향으로 자기장을 가하면 자기장의 방향과 역방향인 원통형의 자구가 무수히 많이 생긴다.

자구의 지름은 10~50 μm로서, 현미경으로 보면 마치 거품모양으로 보인다. 이 자구의 유무를 1과 0으로 대응시키면 컴퓨터의 기억장치로 사용될 수가 있는데, 기억밀도가 매우 높아서 1 cm2 당 1,000만 개의기억소자를 채울 수가 있다. 자구는 상호간섭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논리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참조항목

기억소자, 컴퓨터

카테고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