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삼탄소

일산화삼탄소

[ tricarbon monoxide , 一酸化三炭素 ]

요약 우주를 떠다니는 성간분자(星間分子).

화학식 C3O. 성간분자는 별과 기원이 같은 것으로 추정되어 탐구하면 우주생성의 불가사의를 풀 수 있다는 판단 아래, 많은 과학자들이 이 물질을 찾는 데 심혈을 기울여 오다가, 1984년 일본의 도쿄천문대 노베야마[野邊山] 우주전파관측소의 스즈키 히로코[鈴木博子]연구팀에 의해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C3O가 발한 주파수는 48.1085 GHz였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약 절반은 별의 형태로, 나머지 절반은 성간분자로 우주를 떠다니는데, 이 성간분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암흑성운(暗黑星雲)을 만들고 있다. 과학자들은 절대온도(-273℃)에 가까운 -260℃의 극저온의 우주에서 지상에 존재하지 않는 기묘한 분자가 주역을 맡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어, 이 분자가 어떤 것인지를 규명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몇 개의 탄소원자가 쇠사슬처럼 일렬로 줄을 잇는 직선탄소분자, 예컨대 C3N ·NC5N ·NC7N ·NC9N 등 원자가 직선으로 늘어선 분자가 캐나다에서 발견되었다. 탄소의 사슬이 곧 성간분자의 핵(核)이라 판단하고, 과학자들은 탄소의 핵을 규명한 것이다.

참조항목

탄소

역참조항목

암흑성운, 성간분자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