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재집

익재집

[ 益齋集 ]

요약 고려 말의 문신 ·학자 이제현(李齊賢:1287~1367)의 전집(全集).
구분 전집, 활자본
저자 이제현(李齊賢)
시대 1635(조선 인조 13)

활자본. 15권. 1635년(인조 13) 간행. 그 후 1693년(숙종 19) 경주(慶州)에서 중간되었고, 1813년(순조 13) 증보 ·간행되었다. 내용은 《익재난고(益齋亂藁)》 10권, 동(同) 습유(拾遺) 1권, 그리고 《역옹패설(櫟翁稗說:낙옹비설)》 전집 2권과 후집 2권으로 되어 있다. 책머리에 이색(李穡) ·임상원(任相元)의 서문과 연보(年譜), 뒤에 허경(許熲)의 중간발(重刊跋), 그리고 습유 끝에 류성룡(柳成龍) ·이시발(李時發) ·김빈(金鑌)의 발문이 있다.

또,《역옹패설》 전 ·후집 책머리에는 저자의 자서(自序)가 각각 있다. 특히 저자의 수필(隨筆) ·시화(詩話) 중에는 사서(史書)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유사(遺事)와 기문(奇聞) 및 정치 ·사회 ·인물 등에 관한 그의 의견이 기록되어 있어 고려사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된다. 1911년 고서간행회(古書刊行會)에서 《파한집(破閑集)》 《보한집(補閑集)》 《아언각비(雅言覺非)》 《동인시화(東人詩話)》 등과 합본하여 활자본 1책으로 발행한 바 있다.

참조항목

이제현

역참조항목

익재집책판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