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성 저기압

이동성 저기압

[ migratory cyclone , 移動性低氣壓 ]

요약 일반적으로 중위도에서 형성되어 이동성이 강한 온대성 저기압.

저기압은 크게 열대성 저기압과 온대성 저기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모두 이동하는 성질을 가진다. 그 중에서도 한대기단과 열대기단이 만나 열교환이 심한 중위도 지방에서는 전선과 함께 저기압을 자주 형성하는데, 이를 온대성 저기압이라 한다. 중위도의 편서풍에 의해 온대성 저기압은 항상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흔히 이동성 저기압이라 함은 이러한 온대성 저기압을 가리킨다.

이렇게 중위도의 전선대(前線帶) 상에서 발생한 저기압의 이동방향은 저기압 난역(暖域) 내의 등온선이나 고층일기도상의 유선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우리나라 부근에서는 주로 동진 또는 북동진하게 되며 전선을 동반할 때가 많다. 이동속도는 보통 20∼40km/h이지만, 겨울에는 빠르고 여름에는 느리다. 폐쇄단계에 접어들면 속도가 느려져서 정체성을 띤다.

참조항목

저기압

역참조항목

저기압의 종류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