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윤문효공 신도비

구례 윤문효공 신도비

[ Stele for Yun Munhyogong, Gurye , 求禮 尹文孝公 神道碑 ]

요약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이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신 문효공(文孝公) 윤효손(尹孝孫)의 신도비. 1975년 3월 3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구례 윤문효공 신도비

구례 윤문효공 신도비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75년 3월 31일
소재지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이평리 산91-1번지
시대 조선 중종 15년(1521)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크기 높이 171cm, 너비 91cm, 두께 25cm

1975년 3월 3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71cm, 너비 91cm, 두께 25cm이다. 남원윤씨 종중이 관리하고 있다.

신도비는 죽은 사람의 묘소로 가는 길목에 세워 고인(故人)의 행적이나 사적을 기리는 비를 말한다. 조선시대에는 정2품 이상의 벼슬을 한 사람에게만 제한하였다.

이 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윤효손의 신도비로, 윤효손은 단종대에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등을 지낸 인물이다. 문효는 시호이다. 비는 그가 죽은 지 16년이 지난 1519년(중종 14)에 세운 것으로, 높이 1.2m의 직사각형으로 된 지대석을 지면에서 상당히 높게 앉히고 각면에는 구름과 용 무늬를 장식하였다. 지대석 위에는 다시 별석(別石)으로 얇게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 좌대석(座臺石)을 마련하였다. 또 귀부(龜趺: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는 앙련 좌대석과 일석으로, 귀두(龜頭)는 용두화되지 않았다. 앞발은 일반적으로 귀두 앞쪽으로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나, 앞발을 뒤로 구부려 붙여 발톱을 앙련 좌대석에 붙인 점이 특이하다. 비신(碑身)은 대리석이며 거북의 등 상면 중앙에 다시 복련(覆蓮: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연꽃) 좌대석(座臺石)을 조각하였고 그 위로 비신을 받쳤다.

비문을 지은 이는 신용개, 쓴 이는 신공제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