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화대무

육화대무

[ 六花隊舞 ]

요약 궁중무용.
장르 궁중무용

고려 때부터 전해오던 것을 조선시대에 재편성한 춤으로, 화심(花心)인 중심무(中心舞)와 육화(六花) 및 죽간자(竹竿子)로 구성된다. 《악학궤범》에는 육화를 동쪽에 홍의(紅衣) 3인, 서쪽에 남의(藍衣) 3인으로 구성된다고 하였으나 조선 후기의 《정재홀기(呈才笏記)》에는 동서 6인의 옷색깔이 모두 다르다. 즉, 동쪽의 3인은 옥색 ·자색 ·남색이고, 서쪽의 3인은 초록 ·진홍 ·분홍의 순이다. 춤은 먼저 죽간자가 《화심사(花心詞)》를 부르면 중심무가 답사(答詞)로 받는다. 이어 원무(元舞) 일동이 1명씩 나서서 일념시(一念詩) ·이념시 ·삼념시의 차례로 화심을 읊고 그것을 다시 노래로 옮긴 일념가(一念歌) ·이념가 ·삼념가를 부른 다음 화려한 꽃춤을 벌인다.

역참조항목

첩승무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