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클리드의 호제법

유클리드의 호제법

[ Euclidean algorithm ]

요약 유클리드의 저서 《기하학원본》에 기재되어 있는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호제법 또는 연제법이라고도 한다.

유클리드의 저서 《기하학원본》에 기재되어 있다. 간단히 호제법 또는 연제법(連除法)이라고도 한다. 두 자연수 또는 다항식 a,b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데 있어, 자연수일 때는 a>b, 다항식일 때는 a의 차수가 b의 차수 이상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나눗셈을 실행한다.

     a=bq1+b1… (q1은 몫, b1은 나머지)

     b=b1q2+b2… (q2는 몫, b2는 나머지)

     b1=b2q3+b3… (q3은 몫, b3은 나머지)

     ………………………………………

     bn-2=bn-1qn+bn'… (qn은 몫, bn은 나머지)

     bn-1=bnqn+1… (qńn+1은 몫, 나머지는 0)

이때, bn은 처음의 두 자연수 a,b의 최대공약수가 된다고 하는 것을 유클리드의 호제법이라 한다.

이를테면, 78696과 19332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면,

     78696=19332×4+1368

     19332=1368×14+180

     1368=180×7+108

     180 = 108 x 1 + 72     

     108 =72×1+36

     72 =36×2

에 따라서, 36이 구하는 최대공약수이다. 실제로 계산할 때는 아래와 같이 두 수를 나열하여 가로선을 긋고, 큰 쪽의 수를 작은 쪽의 수로 나누어 나머지 1368을 낸다. 다음 1368로 19332를 나누어 나머지 180을 낸다. 또, 180으로 1368을 나누어 나머지 108을 낸다. 이와 같이 나눗셈을 거듭 시행해가면 결국 나누어 떨어지며, 그 때의 젯수가 최대공약수이다. 다항식의 경우도 마찬가지로서, 이를테면 두 정식 x3+6x2+3x-10, x3+8x2+9x-18 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면 x-1인 답을 얻는다.

유클리드의 호제법 본문 이미지 1
유클리드의 호제법 본문 이미지 2 

역참조항목

최대공약수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