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인계살충제

유기인계살충제

[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 , 有機燐系殺蟲劑 ]

요약 유기인화합물을 주체로 한 농약으로 실용면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농약 중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하고 있다. 유기인화합물이 살충효과가 있음이 밝혀진 이래 계속하여 수많은 화합물이 합성되어 식물성 농약에 이용함으로써 병해충 방제에 크나큰 전기를 마련하였다.

오늘날 유기인계 농약이 이렇게 발전하게 된 것은 1939년 독일의 바이어(Bayer)에 의해서였다. 유기인계 농약은 거의 에스터형이므로 비교적 안정성이 낮고 가수분해되기 쉬운 화합물로서 특히 알칼리에 분해가 잘되며 가수분해 정도는 약제에 따라 다르다. 또한 일반적으로 물에는 녹기 어려우나 유기용매와 유지(油脂)에는 가용성이며 석유류의 탄화수소에는 약간 녹는다. 증기압은 낮고 휘발성도 낮은 편이다.

살충제가 갖추고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해충의 범위가 넓다. ② 에스터화합물이므로 식물체 및 동물체 내에서 효소계(포스파타아제·카복시에스테라아제·아미다아제 등)의 작용을 받아 분해가 빠르고 체내에서의 축적작용이 없다. ③ 약제살포 후 광선이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소실(消失)이 빠른 편이다. ④ 동식물 체내에서 분해가 빠르고 광선에 의한 분해가 빠른 특성이 있어 약제의 잔효성(殘效性)이 짧은 편이다. ⑤ 사람·가축에 대한 급성독성은 일반적으로 강하나 만성독성은 낮다. ⑥ 알칼리성 물질에 의하여 가수분해가 쉽게 일어나므로 알칼리성 농약과 혼용을 피하여야 한다. ⑦ 약해가 비교적 적은 편이며 약제에 따라서 식물의 생육을 좋게 하는 효과도 있다. ⑧ 기온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기온이 높을 때에는 기온이 낮을 때보다 효과가 높다. ⑨ 동식물체 내에서 산화되어 독성이 더욱 강한 옥손화합물로 변하여 살충효과를 증진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