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편광

원편광

[ circularly polarized light , 圓偏光 ]

요약 광파의 전자기장 진동이 원진동인 빛으로, 자기장이나 전기장 중 하나의 성분이 진폭은 일정하지만, 진동방향이 빛의 진행방향에 수직인 채로 회전한다.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직선편광을 사분의 일 파장판의 주면에 45° 기울여 입사시키면 된다. 반대로 원편광이 이것을 지나면 직선편광이 된다. 한편, 원편광은 진동방향이 시계방향인지, 반시계방향인지에 따라 두 종류가 있다.

즉 광파의 전기장 성분 또는 자기장 성분의 어느 한쪽의 진동에서 그 진동방향이 빛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고 진폭이 그 회전방향과 관계없이 일정한 빛이다. 직선편광사분의 일 파장판의 주면(主面)에 45° 기울게 입사시키면 그것을 지난 빛은 원편광이 된다.

이와는 반대로 원편광을 넣어 주면 직선편광을 얻을 수 있다. 광선의 진행방향을 향해 선 관측자가 보아서 광파의 전기장 성분 진동방향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우회전원편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좌회전원편광이라 한다.

역참조항목

편광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