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활성

광학활성

[ optical activity , 光學活性 ]

요약 좌우의 원편광에 대하여 광학상수(굴절률과 흡수계수)가 다른 값을 가지는 성질.

굴절률이 다를 때는 광회전성을 나타내며, 흡수계수가 다를 때는 원편광이색성(圓偏光二色性)을 나타낸다. 광회전성과 이색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광회전성 물질을 일반적으로 광학활성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광학활성은 물질 내에서의 전자기파에 의한 분극이 나선형의 상관성이 있기 때문에 생긴다. 대표적인 예로 4가의 결합손에 모두 다른 원자를 가진 비대칭 탄소원자가 있다.

광학활성물질은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물질이고, 생명현상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분자는 광학활성물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이유에서 의약품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은 어떤 광학활성형인가에 따라 약효를 나타낼 수도 있고, 치명적인 부작용을 나타낼 수도 있다. 감미료의 일종인 아스파탐의 경우, 광학활성형은 단맛을 나타내지만 다른 활성형은 쓴맛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