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성단

운동성단

[ moving cluster , 運動星團 ]

요약 일반적으로 성단에 소속된 별은 무질서한 운동을 한다. 그러나 개개의 별의 고유운동을 연장했을 때, 천구상의 한 점에 집속되는 성단을 운동성단이라고 한다. 성단으로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집속운동의 존재를 통해서 운동성단임을 아는 경우도 있다.

히아데스성단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운동이 한 점에 집속된다는 것은 성단이 태양과 상대운동을 하고, 그 결과 소속 별이 태양에 대하여 평행운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집속점은 그 무한원점(無限遠點)이다. 일반적으로 소속 별은 성단 내에서 무질서한 운동을 하고 있으나 평균하면 성단 전체의 계통적 운동이 추출된다. 상대운동이 소속 별의 무질서운동에 비하여 작은 경우나 원거리인 경우에는 집속운동을 확인하기 곤란하므로 운동성단이라고 하지 않는다.

또, 반대로 전갈-센타우루스자리 성군(星群)·큰곰자리 성군과 같이 소속 별이 천구상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얼핏 보아 성단이라고 인정되지 않으나, 집속운동의 존재로 비로소 운동성단임을 아는 경우도 있으므로, 운동의 조사는 중요한 뜻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운동성단의 속도·집속점이 관측되면 성단의 거리는 상당히 정밀하게 구해진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