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과학

우주과학

[ space science , 宇宙科學 ]

요약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지구 주위의 우주공간의 환경, 태양계 천체들의 조사연구 및 구조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이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관련한 과학의 총칭을 우주과학이라고 한다. 수학, 천문학, 물리학은 물론, 전자, 전기 등 응용분야의 과학기술까지 동원된다.

20세기에 들어서자마자 인류의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됨에 따라 인간의 활동범위가 넓어졌다. 그리고 지구에서 사는 우리가 장차 겪을 위기, 즉 인구증가·자연자원의 고갈·식량부족 문제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구뿐만 아니라 지구 주위의 우주공간의 환경, 태양계에 속하는 모든 천체들의 조사연구 및 우주전체의 구조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을 날려서 연구하는 활동으로 생각하지만 지상에 있는 각종 시설이라든지 이론을 통한 활동도 절대로 필요하기 때문에 우주과학이라는 분야는 광범위하다. 그래서 거대과학(巨大科學)이라고도 부른다. 수학·천문학·물리학·화학·생물학은 물론 응용분야인 전자·전기·기계·화공학 등 거의 모든 과학기술이 동원되기도 하는데, 이는 대상으로 하는 우주공간과 천체가 거대함은 물론 취급하는 연구 도구나 예산 규모도 엄청나게 크기 때문이다.

지구주변의 우주공간에 관하여는 이온층[電離層]·태양 플라스마·자기권(磁氣圈)·무중력상태 같은 것이 연구대상이 되며, 로켓의 발달로 지금은 지상망원경을 대신하여 직접 태양계의 모든 천체들을 관측하는 길이 열렸다.

인공위성·우주선 발사 등으로 실생활에도 혁신적인 도움을 얻고, 새로운 지식이 놀라운 속도로 모이고 있다. 우주구조에 관해서도 적외선·X선 등의 응용분야를 주로 하는 천문학이 발달됨에 따라 지금까지 얻은 지식을 토대로 하는 종전의 우주관을 근본적으로 개조해야 할지도 모를 새로운 발견이 우주과학의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