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열

우열

[ gully , 雨裂 ]

요약 빗물의 침식작용으로 생기는 골짜기 모양의 지형이다. 건조지역 또는 노년기 산지의 사면에서 만들어지며, 비가 내릴 때만 물이 흐른다. 이를 막기 위해서 나무를 심어서 지면을 보호해야 한다. 한국의 노년기 산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형이다.

우곡(雨谷) ·건곡(乾谷)이라고도 한다. 이는 피복식물(被覆植物)이 빈약한 건조지역 또는 노년기 산지의 사면(斜面)에서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의 두부침식(頭部浸蝕)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여느 때에는 물이 없고, 비가 내릴 때에만 물이 흐른다. 우열은 규모가 작은 것을 릴(rill), 또는 라빈(ravin)이라 한다. 미국에서는 농지의 토양침식의 한 형태로서 중요시되고 있으며, 농업기계가 통과할 수 없는 규모의 마른 골짜기를 걸리라고 부르고 있다. 침식이 진행되면 골짜기가 깊어져서 항상 물이 흐르는 항상하천(恒常河川)을 이루게 된다. 이는 산림이 무성한 초지(草地)에서는 생기지 않고, 황무지나 불모지에 잘 생긴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서는 식림(植林) 등으로 지면을 보호해야 하는데, 악지형(惡地形)의 발달이 현저한 한국의 노년기 산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