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원

용수원

[ 用水源 ]

요약 특정한 목적에 사용되는 물을 용수라 한다.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등의 용수의 수원을 용수원이라 한다. 예를 들어 농업용수의 수원은 강, 하천, 지하수 등이다.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지하수를 개발하는 것 등의 용수원 확보가 필요하다.

농업용수의 수원은 강 ·하천 ·저수지지표수(地表水), 자연용출샘, 관정(管井)의 지하수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을 1,159 mm로 볼 때 전국토에 내리는 총수량은 1천억 t에 달하는데 실제 이용되는 용수량은 70억 t에 불과하며, 이것의 90 %가 농업용수로 쓰인다. 그러나 130만 ha에서 생육되는 의 총 소요수량은 약 100억~200억 t에 달하므로 연속관개 및 물의 재이용을 고려하더라도 방대한 양이 부족하다. 따라서 주요 수계(水系)의 상류로부터 하구에 이르기까지 대규모의 다목적 시설로 흐르는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잠재된 지하수를 개발하는 등 용수원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또 수원을 확보함에 있어서는 관개수의 수질 파악과 관리에도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역참조항목

연속관개, 용수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