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발트의 희석률

오스트발트의 희석률

[ Ostwald dilution law , ─稀釋律 ]

요약 전해질용액(電解質溶液)의 이온화도와 농도에 관한 법칙.

1888년 독일의 화학자 F.W.오스트발트가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약한 전해질 수용액에서는 이온화된 결과 생긴 이온과 비이온화된 전해질분자 사이에 이온화평형이 성립한다. 아세트산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CH3COOH 오스트발트의 희석률 본문 이미지 1 H++CH3COO- 아세트산 1 mol을 Vℓ속에 녹였을 때, α mol만 이온화되어 평형에 이른다. 이 때 α는 이온화도에 해당하고 수소이온 및 아세트산이온은 각각 α mol이 생기므로 비해리된 아세트산은(1-α) mol이 된다.

이들 세 가지의 농도를 질량작용의 법칙에 적용하면
   오스트발트의 희석률 본문 이미지 2
가 된다. 여기서 K를 이온화상수라고 하고, 이 관계식을 오스트발트의 희석률이라고 한다. 아세트산 등의 약한 전해질에서는 잘 성립되지만 강한 전해질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약한 전해질에서도 농도가 높은 곳에서는 K가 약간 변화한다. 이것은 본래 활성도를 사용해야 하는 질량작용의 법칙에 농도를 사용한 데서 오는 오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