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농악

영남농악

[ 嶺南農樂 ]

요약 경남 일대에서 연희되는 농악.

통영(統營) ·삼천포(三千浦) ·진주(晉州) 등지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다른 지방의 농악에 비하여 가락의 변주는 많지 않으나 잔가락으로 몰아가는 것이 특징이며, 여러가지 진법(陣法)놀이가 있다. 창녕지방에서 전래되는 영남농악을 보면 농악대는 20∼30명으로 편성되고 그 중 풍물잡이[樂士]는 흰 바지 ·저고리를 입고, 꽹쇠 ·장구 ·소고는 전립(戰笠)을, 포수(砲手)는 평복에 수건을 쓴다.

놀이의 내용은 크게 지신(地神)밟기와 농악놀이로 구분되는데, 지신밟기는 샘굿 ·성주굿 ·정지굿 ·장독지신굿 ·철릉(굴뚝)굿의 순서로 악귀와 잡신을 몰아낸다. 또한 농악놀이는 진터닦기 ·태극기만들기(대원의 배열로 만든다) ·‘토(土)’자만들기 ·‘수(水)’자만들기 ·‘정(丁)’자만들기 ·씨뿌리기부터 묘뽑기 ·심그기 등 1년 농사일의 내용이 동작짓기 ·개인장기놀이 ·민요부르기 ·12발 행미(상모)돌리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개인기가 끝나고 부르는 민요의 가사는 “높은 데는 밭을 갈고, 깊은 데는 모 심그고, 논배미 곡식을 내야 국세를 보조하자”로 시작된다. 농악에 편성되는 악기는 꽹쇠 2 ·북 4 ·장구 4 ·징 2 ·버꾸[法鼓] 6∼8명이고, 춤은 덧뵈기춤이 주가 된다.

참조항목

농악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