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견뢰도

염색견뢰도

[ color fastness , 染色堅牢度 ]

요약 염색물 빛깔의 여러 외적 조건에 대한 저항성 및 내구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내광 견뢰도와 세탁 견뢰도가 중요하다.

염색섬유품은 제조공정 중 또는 사용 중 용도에 적합한 성능과 사용조건에 대한 충분한 저항력 ·내구력이 요구되는데, 일광 ·세탁 ·비바람 ·땀 ·마찰 ·물 ·염소표백 ·해수 ·드라이클리닝 등 여러 작용을 받을 경우 퇴색 또는 변색하게 된다. 이러한 외적 조건에 대한 색의 저항성이 염색견뢰도인데, 염색물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항목이 된다. 염색견뢰도는 염료의 성질, 염료의 염착상태, 염착량, 섬유의 성질, 피염물의 표면상태, 섬유상의 가공제 등에 의해 상당한 차이가 생긴다.

염색견뢰도의 시험방법은 국제표준화기구법(ISO법) ·미국규격(AATCC) ·유럽규격(ECE) ·한국산업규격(KS) ·일본공업규격(JIS) 등이 약간 차이가 있는데, 한국산업규격에 따른 시험방법의 개요는, 규정된 방법으로 시험한 결과 나타난 염색물의 변색 ·퇴색 또는 백포(白布)의 오염 정도를 판정하는 것이다. 염색견뢰도 시험에는, 일광견뢰도(내광견뢰도)시험 ·세탁견뢰도시험 ·물견뢰도시험 ·염소표백견뢰도시험 ·마찰견뢰도시험 등이 있다.

일광견뢰도의 시험방법은, 규정된 염료로 염색한 8종류의 표준청색염포(標準靑色染布)를 배열한 블루 스케일(blue scale)과 염색된 시험편을 페이드오미터(fade-omēter)에서 규정된 방법대로 빛에 노출시켜 시험편과 표준청색염포의 변 ·퇴색을 비교하여 1~8급까지 구분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규정된 시간 동안 페이드오미터에서 시험편만을 노출시켜, 8시간 노출 후 변 ·퇴색되면 1급, 16시간 노출 후 변 ·퇴색되면 2급, 32시간 노출 후 변 ·퇴색되면 3급 등으로 8등급까지 구분하는 방법이 있다.

역참조항목

염색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