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표시

역표시

[ ephemeris time , 曆表示 ]

요약 지구의 자전속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에 근거를 둔 평균태양시는 한결같지 않으므로, 정확한 시간 간격을 정하기 위해 지구의 공전에 근거를 둔 시계를 말한다.

지구의 자전에 근거를 두고 정해지는 평균태양시(平均太陽時)는 시각으로서 우리의 생활이 태양에 의존하고 있는 한 버릴 수 없는 것이나, 지구의 자전속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한결같이 흐르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 시계로부터는 정확한 시간 간격을 정하기가 어려우므로, 공전에 근거를 둔 한결같이 흐르는 역표시를 생각해 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평균춘분점(平均春分點)에서 측정한 태양의 황경(黃經) L은 L=279°41'48.04″+129602768.13″T+1.089"T2 으로 나타낸다. 1900년 초에 태양의 L이 이 식의 제1항의 값이 된 순간을 1900년 1월 0일 역표시 12시로 정하고, 이후에 T를 36525 역표일단위(曆表日單位)로 계산하면 시각마다 태양의 위치가 구해지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어떤 시각(평균태양시의)에 태양의 황경을 관측하고, 그 값을 위의 식 L에 대입하여 T를 구하면 관측한 때의 역표시를 얻을 수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