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적 시간

역학적 시간

[ dynamical time , 力學的時間 ]

요약 천체역학의 운동방정식에 의해 주어지는 태양계 천체의 위치에 근거한 시간체계로 그 체계에서 채택한 천체역학이론과 태양계 천체들의 질량, 거리 와 같은 태양계 모델에 의해 규정된다.

역학적 시간체계는 그 체계에서 채택한 역학이론과 모델(태양계 천체들의 질량, 거리 등)에 의해 규정된다. 실제적인 역학적 시간은 운동방정식과 태양계 모델에 의하여 태양계 천체의 위치를 계산한 표와 직접 관측된 태양계 천체의 위치를 대조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역학적 시간은 지구의 에 근거한 시간체계인 (Universal Time)가 지구 자전의 불규칙성으로 인하여 이상적인 시간이 아니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1960년에 역표시(Ephmeris Time)라는 이름으로 최초의 역학시간이 국제천문연맹에 의하여 채택되었다.

그러나 곧이어 역표시에서 채택한 뉴턴역학이 태양계 천체의 위치를 만족스럽게 기술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인식되어, 일반상대론에 입각한 운동방정식에 근거한 역학시간으로 지구역학시(Terrestrial Dynamical Time)가 국제천문연맹에 의하여 1976년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지구역학시와 같이 도입된 태양계역학시(Bayrcentric Dynamical Time)는 태양계 무게중심에서 기술한 역학시간을 가리킨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