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층

역전층

[ inversion layer , 逆轉層 ]

요약 대기의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것이 일반적이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이 일어나는 기층을 말한다. 도시 부근에서는 역전현상으로 인해 스모그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대기는 상층으로 갈수록 지표면에서 받는 복사 에너지가 감소하므로, 평균 100m당 0.5∼0.6℃씩 낮아진다. 즉 기온체감 현상이 나타나는데 대기의 안정 ·불안정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그러나 기온이 고도에 따라 낮아지지 않고 높아지는 것을 역전현상이라 한다. 역전층은 ① 정역학적(靜力學的)으로 안정상태에 있고, ② 상하의 난류현상(亂流現象)이 적고, ③ 층상운 또는 안개가 나타나는 등의 현상이 있다.

지표 부근에서 야간에 복사냉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역전현상을 복사 역전층(輻射逆轉層, radiational inversion layer)하고, 그 외에도 기류가 장시간 침강하였을 때, 권계면(圈界面) 부근, 전선(前線)에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도시 부근에서는 역전현상으로 상하층의 대기가 잘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역전층 아래에 연기 ·매연 등이 누적되어 스모그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