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석화학

암석화학

[ petrochemistry , 岩石化學 ]

요약 암석이 가지고 있는 화학성분의 특징이나 암석을 구성하는 성분의 분화경로 또는 공통된 화학조성을 가진 암석이 있는 지역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암석학의 한 분과이나 지구화학적(地球化學的)인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과거에는 화성암에 대한 화학적인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오늘날에는 퇴적암 ·변성암에 관한 암석의 생성 ·변화과정을 밝히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암석화학적 연구가 활발하여 한국산 각종 화성암 ·변성암의 기원을 규명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암석의 주성분뿐만 아니라 미량성분(微量成分)에 대해서도 정량적으로 실험 ·연구하여 유효하게 이용한다. 암석의 화학조성 연구에는 그와 같은 화학조성을 가지게 된 지질과정(地質過程)이 추정되어야 하는데, 많은 지질산물의 측정값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마그마의 경로나 화성암이 풍화되는 과정 등을 규명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화학조성의 특징을 가진 암석군의 분포 영역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지구의 진화나 우주의 진화 등을 해명할 수 있는 단서를 얻게 된다.

참조항목

암석, 암석학

역참조항목

구조암석학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