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 Stone Seated Buddha in Angi-dong, Andong , 安東 安寄洞 石造如來坐像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여래좌상.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경북 안동시 한화4길 11-13 (안기동)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크기 높이 53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53cm이고, 재료는 화강암이다.

발견 당시에는 광배(光背)나 대좌(臺座)는 물론 불상의 머리 부분까지 없어진 채 몸체만 남아 있었으나 뒤에 두상과 대좌를 만들어 놓았다. 이 석불좌상은 약사전(藥師殿)에 있는데, 목에는 삼도(三道)가 겨우 남아 있으며 오른쪽 가슴, 손등, 무릎이 깨졌지만 어깨로 내려오는 유려한 선 등 새겨진 무늬는 뛰어나다. 반가부좌(半跏趺坐)한 안정감 있는 자세로 오른손을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 끝이 땅을 향하며 왼손은 배에 대고 손바닥을 위로 향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취하고 있다. 양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의 법의(法衣)는 사실적으로 유려하게 표현하였는데 가슴에는 군의대 매듭이 보인다. 대좌는 화려한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무늬)이 새겨진 상대석과 각 면에 안상(眼象)을 새긴 8각 중대석, 신장상을 조각한 8각 받침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축된 신체의 표현이나 복잡하고 화려해진 대좌와 섬세한 조각 수법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하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조항목

안기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