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안국사지 석탑

당진 안국사지 석탑

[ Stone Pagoda at Anguksa Temple Site, Dangjin , 唐津 安國寺址 石塔 ]

요약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수당리에 있는 안국사 창건 당시 건조된 고려시대의 4층 석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당진 안국사지 석탑

당진 안국사지 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골1길 188 (정미면)
시대 고려
종류/분류 석탑
크기 높이 3m

탑신부에 비해서 기단이 매우 소홀하다. 지상에 2매의 장대석을 놓아 지대석을 삼았으며, 상면에 낮은 괴임이 표출되었을 뿐 그 위의 중석(中石)은 1매석을 얹었고 우주(隅柱)나 탱주(撑柱)도 없는 자연석에 가까운 석재이다. 탑신부의 옥신과 옥개석은 각각 1석으로 되었고 옥신은 초층옥신을 남길 뿐 그 이상은 상실되었다.

아름답지는 않으나 소박하고, 탑신에 불상을 조각한 점 등이 당시의 석탑구조의 성격을 잘 나타내고 있어서 학술상 중요한 가치가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당진 안국사지 석탑 고려시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4층 석탑 보물 제101호 높이 약 3m의 4층 석탑으로 안국사가 창건될 당시인 고려시대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안국사터에 부서진 상태로 방치된 것을 수습하여 복원하였다. 석탑을 세운 주춧돌은 넓은 1장의 면석을 이용했고 기단부도 사각형의 큰 돌을 다듬어 사용하였다. 1층에는 3면에 불상을 돋을새김을 했고 남쪽면에는 자물쇠를 채운 문비를 새겼다. 2층부터는 면석이 없이 옥개석만 쌓았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