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수술

심장수술

[ open heart surgery , 心臟手術 ]

요약 심장으로 유입하는 혈액을 막아 심장을 비게 하고, 심장을 절개하여 내부를 직접 육안으로 보면서 조작하는 수술.

직시하(直視下) 심장수술 또는 개심술(開心術)이라고도 한다. 처음으로 이 수술에 성공한 사람은 미국의 루이스(저체온법)와 기번(인공심폐)이며, 그 후 급속도로 보급되어, 심장수술의 대부분이 직시하로 할 수 있게 되었다. 적응 질환은 심방 또는 심실의 중격결손증(中隔缺損症) ·심내막상결손증(心內膜床缺損症) ·폐동맥협착증 ·팔로사징증(Fallot 四徵症) 등의 선천성 심장질환 외에, 선천성 ·후천성을 막론하고 판막증 ·심장내종양 등이 주된 것이다.

심장을 비우려면 상하 대정맥을 차단하고, 또한 간헐적으로 대동맥도 차단해야 한다. 그러나 아무런 대책도 없이 하면 전신의 각 장기가 단시간에 기능을 상실하여 재생불능인 상태로 된다. 그래서 인공심폐(人工心肺)나 저체온법(低體溫法), 또는 양자의 병용에 의하여 장기세포의 생명을 유지해야 한다. 인공심폐를 쓸 때의 체온은 보통 36∼37℃의 정상체온을 유지하지만, 저체온을 병용할 경우에는 30℃ 전후에서 25℃ 정도, 저체온법만을 쓸 때는 25℃ 전후에서 20℃ 이하까지 저하시킬 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