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종통편

시종통편

[ 時種通編 ]

요약 천연두와 종두법에 관한 조선 후기의 의서.
구분 활자본
저자 이종인(李鍾仁)
시대 조선시대(1817년)

활자본. 2권 1책. 이종인(李鍾仁) 편찬. 1817년(순조 17) 간행. 《시종통편》의 시(時)란 시세유행(時歲流行)의 천연두를, 종(種)은 종두법을 가리키는 것이다. 종두의 증후는 천연두가 경한 것으로 이 법을 한 번 시행하면 일생동안 면역이 된다는 것을 주장하고 치두(治痘)와 종두를 함께 설명하였다. 내용은 천연두의 총설 ·증후 ·치료법을 말하고, 그 중 종두를 강조하여 종두시종범례(種痘始終凡例) ·종두원목(種痘源目) ·종두법 ·종두예선조리론(種痘豫先調理論) ·종두아정신형기론(種痘兒精神形氣論) 등 각조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저자 이종인은 박제가(朴齊家)로부터 종두에 관한 여러 서적과 의서를 얻어 보고, 20여 년간 고심하여 연구한 끝에 그 법을 시행하여 종두가 치두의 제일 좋은 법임을 주장하였다. 한국에 종법을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