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기단

시베리아기단

[ Siberian air mass ]

요약 시베리아대륙 지역에 기온이 내려갈 때 한랭한 공기가 축적되어 형성된 한랭건조한 기단.

세계에서 가장 큰 유라시아대륙의 북부지역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베리아에서 형성되는 기단으로, 고위도 내륙에 위치하여 한랭하고 건조한 성격을 가진다. 시베리아 기단은 넓은 대륙의 영향과 북극해에 인접한 특성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한대기단에 속한다. 그 중심부는 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형성되는데, 우리나라의 북서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겨울철 우리나라에 불어오는 북서계절풍의 원인이 된다.

시베리아기단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중에서 가장 긴 기간 동안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가장 강한 영향을 끼치는 기단이다. 우리나라 여름철이 끝나갈 무렵부터 시베리아 지역은 기온이 많이 내려가 고기압을 형성하기 시작하고, 우리나라에는 늦가을 무렵부터 북서계절풍이 불어오기 시작하여 12월에서 이듬해 2월까지 매우 추운 날씨를 가져온다. 시베리아기단은 우리나라 겨울철 날씨를 지배하는 기단으로 강한 북서계절풍에 의한 한파, 삼한사온(三寒四溫) 현상, 겨울철 다설(多雪)지역 등의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에 위치하여 계절풍에 따라 여름과 겨울 기후 차이가 선명하게 나타나는데, 이 중 겨울 기후와 관련한 문화들이 겨울철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에 의해 생겨난 것들이다. 예를 들면 김장 문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주거지 선정,  폐쇄적인 가옥구조가 나타나는 지역, 겨울철 바람이나 눈을 대비한 지방 문화 등이 바로 시베리아기단과 관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시베리아기단이 변질되어 분리되어 나오면 우리나라 주변에 이동성고기압이 발달하는데, 우리나라 북동쪽에 이동성고기압이 발달할 때 북동풍이 불어오며, 2월 전후로 영동지방에 폭설이 내리는 원인이 된다. 3월에 기온이 상승하면서 시베리아기단은 서서히 약해지지만, 일시적으로 확장할때 우리나라에 꽃샘추위를 가져오기도 한다.

시베리아기단 본문 이미지 1
시베리아기단오호츠크해기단적도기단북태평양기단

참조항목

기단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