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래브

슬래브

[ slab ]

요약 철근 콘크리트구조의 바닥을 말하는데, 보통 주위가 보로 둘러싸이고 이에 걸리는 하중은 주위의 보에 분담되어 각 기둥으로 힘이 흘러간다.

보가 있는 슬래브

슬래브가 보와 함께 짜인 형태는 ‘1방향 슬래브’와 ‘2방향 슬래브’로 나누어진다. 1방향 슬래브는 두 변으로 지지된 경우로 하중이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며 판이 한쪽으로만 구부러진다. 슬래브 네 변에 보가 있더라도 장변의 길이가 단변 길이의 2배 이상이면 1방향 슬래브로 분류되며 실제로 1뱡향 슬래브는 하중의 90% 이상이 단변 방향으로 전달된다. 보통 2방향 슬래브에서 경간(서로 마주보는 면)의 가운데에 작은보를 설치하면 1방향 슬래브를 만들 수 있으며 1방향 슬래브로 하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기둥 사이의 경간이 대략 8m 내외라고 하면 작은보를 대략 3~4m 간격으로 배치해서 1방향 슬래브로 만들 수 있다. 슬래브는 구조체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1방향 슬래브로 만들어서 두께를 줄이면 전체 건물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2방향 슬래브는 네 변으로 지지된 경우이며 2방향 슬래브의 하중 분산은 슬래브가 두 방향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슬래브 중앙 부분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경계 부분으로 분산되는 방식이다.

보가 없는 슬래브

보가 없는 슬래브를 무량판 슬래브라고 하는데, ‘플랫 슬래브(Flat slab)’와 ‘플랫 플레이트(Flat plate)’가 있다. 기둥과 기둥 사이의 경간이 길어지면 기둥이 부담해야 하는 수직하중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이때 슬래브가 충분히 두껍지 않다면 펀칭, 즉 슬래브가 뚫릴 위험이 커진다. 펀칭 파괴는 기둥과 가까운 슬래브 하부에서 위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발생되며 이것을 막으려면 콘크리트 강도를 높이거나 슬래브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한다. 따라서 플랫 플레이트는 이 펀칭에 보강하기 위해 기둥 머리부분에 지판(Drop panel)을 추가로 설치한 방식이다. 

플랫 슬래브(Flat slab)나 플랫 플레이트(Flat plate)로 설계하면 보가 없기 때문에 층고를 낮게 해도 천장고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슬래브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건물이 무거워진다. 와플 슬래브는 격자 모양의 보를 가진 슬래브이며 이 격자 형식의 장선이 작은보 역할을 하면서 기둥으로 하중을 전달한다. 양방향 기둥 경간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며 양방향으로 하중을 전달하기 때문에 슬래브 두께를 줄일 수 있지만 격자형 모양으로 만들려면 거푸집을 복잡하게 짜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와플 슬래브는 와플 무늬를 노출해서 의장적인 효과를 표현하기도 한다.

참조항목

제철소, 지붕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