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옛이응.

한글 옛 자모(字母)로서 자음의 하나. 초성과 종성에서 [ŋ]음으로 쓰이던 것이 자체(字體)는 소멸되고 그 음만 종성으로 남아 ‘ㅇ’자로 표기되고 있다. ‘이응(異凝)’이라는 자모명칭은 최세진(崔世珍)의 《훈몽자회(訓蒙字會)》(1527)에 나타나는데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ㅇ’을 같은 명칭으로 부르게 하였다. 《훈민정음주해(訓民正音註解)》에서는 “ㆁ 엄쏘리니 業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ㆁ牙音業字初發聲)”고 그 음가를 설명하였다. 고어 표기에서 ‘ㆁ’은 원칙적으로 종성으로만 쓰이고 음절간에서는 초성으로 쓰이기도 하였다[예:바(毬) 《龍飛御天歌 44章》, 밠드 《月印釋譜 57》, 잇자 《月印釋譜 62》 등]. 이와 같은 표기도 혼기되었는데 16세기 초의 문헌에 겨우 몇 예 보이다가 아주 없어지고 ‘ㆁ’은 어떤 경우이든 종성에만 쓰이는 글자가 되었다. 《동국정운(東國正韻)》 한자음 표기에서는 물론 어두(語頭)에도 쓰였고[예:業(), 牙(), 王() 등] 종성으로도 쓰였다.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