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참

수참

[ 水站 ]

요약 조선시대 내륙지방의 하천망을 이용한 세곡의 운송을 위해 설치한 역참.

충주의 가흥창(可興倉)이 좌수참으로, 황해도 배천의 금곡창(金谷倉)이 우수참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세조 때 충주에 가흥창 건물을 세우고 경상도와 충청도 지방의 곡식을 운송하도록 하였으나, 대동법(大同法)이 실시되고 산간지역의 전세 수납도 쌀이나 포 대신 돈으로 납부하게 되면서 현물 수송의 양은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순조 때는 세곡 운송에 사용되는 수참선(水站船)의 숫자도 16척으로 줄이고 충주·음성·진천·연풍·청안·괴산 등 충청도 6개읍의 세곡만을 운송하게 하였다.

수운판관(水運判官)이라는 전임 직책을 따로 두어 운송을 주관하게 하다가 정조 때 이를 폐지하고 충주목사가 도차사원(都差使員)의 직책을 맡고 5읍의 수령이 돌아가면서 차사원을 맡아 관리하게 하였다. 가흥창의 세곡운송 기능은 점차 약화되다가 고종 초에는 수참선의 숫자가 14척으로 줄었을 뿐 아니라 운송 대상지역도 충주·음성·청안·괴산 등 4읍으로 줄게 되었다.

황해도 금천의 우수참 역시 해서지방의 곡식 운송을 전담하였으나 운송을 관할하던 대부분의 고을들이 세곡이 아닌 돈으로 상납하게 되고 평산(平山)은 민간선박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수참으로서의 기능을 상실, 《속대전》(1746)에 이르러 폐지되었다.

참조항목

수부, 수부전, 역참

역참조항목

가흥창, 수운판관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