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기압계

수은기압계

[ mercury barometer , 水銀氣壓計 ]

요약 수은을 이용해 기압을 측정하는 기구. 토리첼리(Torricelli)의 실험을 응용하여 프랑스의 포르탕(Fortin)이 만들었다. 포르탕수은기압계라고도 한다.

수은기압계의 구성
주요 부분은 수은조(水銀槽), 부착온도계, 기압눈금 및 부척(副尺)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압눈금은 mmHg 또는 mb(밀리바) 단위로 새겨져 있다.

기압의 측정
하부의 수은면 조정나사로 수은조 안의 수은면 높이를 상아침 끝부분에 일치시킨다. 그리고 주척 및 부척 눈금을 사용하여 유리관 안의 수은주의 높이를 측정한다. 관측값은 온도와 중력의 영향을 받으므로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기차보정, 온도보정, 중력보정을 하면 관측지점의 현지기압을 얻을 수 있고, 현지기압을 해면경정한 것이 해면기압이다. 취급법과 측정법이 까다로우나, 정밀도가 높다.

기압계실 내부의 급격한 기압변화, 부착온도계의 불확실성, 진공상태의 불량, 수직성결여 등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수은기압계의 설치와 관리
온도변화가 적고 직사광선이 없는 건물의 북쪽에 설치한다. 소음 또는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약 25cm의 견고한 나무 또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설치한다. 기압계실의 창문은 이중창으로 하고 출입문은 미닫이로 하여 실내의 공기운동을 최소화한다. 높이는 수은주의 두부가 대략 관측자의 눈 높이에 맞도록 한다. 수은주가 연직에서 1도 기울어지면 실제보다 약 0.05hPa(헥토파스칼)의 높은 기압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하단에 붙어 있는 3개의 고정나사를 조정하여 수은주가 연직이 되도록 건다.

운반할 때는 거꾸로 세워 케이스에 넣은 상태로 운반하고 가급적 사람이 직접 운반하며, 연직운반을 원칙으로 하여 30˚이상 기울이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