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

수영

[ 水營 ]

요약 조선시대 수군절도사가 주재하던 영.

조선시대의 수군체제는 진관체제(鎭管體制)가 성립되면서 주진(主鎭)을 비롯한 제진(諸鎭)이 각도 지역별로 유기적으로 편성되었다.

각도에는 관찰사가 수사직을 겸직하는 이외에 별도로 전임직(專任職)의 수사(水使)가 편성되었으나, 강원도와 함경도·평안도 등 해양방위보다 육로의 방비가 중시되었던 지역에서는 관찰사가 수사를 겸했을 뿐 전임수사가 편성되지 않았다. 또 경상도·전라도 등과 같이 해양방위가 보다 중시된 지역은 관찰사가 겸하는 수사 이외에 전임수사가 2명 배정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편성은 해상방어를 각도별로 분담하는 데 치중한 것이었으므로 대규모의 전쟁이 일어났을 때 각도 수군의 연합작전을 펴기에는 불편하였다. 임진왜란 과정에서 경상·전라·충청 3도의 수군을 보다 효율적으로 통솔하기 위해 수군통제영(水軍統制營)과 그 책임자로서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직이 마련된 것도 같은 이유에서였다.

통제영은 방어에 유리한 입지조건에 따라 한산도·여수·고성·충무 등으로 옮겨지면서 존속하다가 1895년(고종 32) 칙령에 따라 폐영될 때까지 조선 수군의 최고 통치 관청으로서 기능하였다. 이 밖에 각도 수군을 묶어 편성한 것으로는 경기수사가 겸직하는 삼도통어영(三道統禦營)이 있었다.

통어영은 인조 때 경기수영이 남양에서 교동으로 옮겨지면서 설치되었는데, 경기·충청·황해 세 도의 수군을 통솔하도록 하였다. 각 도의 수영에는 전선(戰船)·방선(防船)·병선(兵船) 등의 배들이 소속되었는데, 수영에 따라 각기 선박을 개조해야 할 시기가 정해져 있었다. 조선 후기 수영의 모습을 보여 주는 고지도(慶尙左水營地圖)가 규장각에 남아 있어 당시 수영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