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달

수달

[ Eurasian Otter ]

요약 식육목(食肉目) 족제비과의 포유류.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수달

수달

학명 Lutra lutra
동물
지정종목 천연기념물
척삭동물
포유
지정일 1982년 11월 16일
식육
족제비
소재지 기타 전국일원
멸종위기등급 준위협(NT : Near Threatened, 출처 : IUCN)
크기 몸길이 63∼75cm, 꼬리길이 41∼55cm
종류/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생활
무게 5.8∼10 kg
분포지역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몸길이 63∼75cm, 꼬리길이 41∼55cm, 몸무게 5.8∼10kg이다. 형태는 족제비와 비슷하지만 훨씬 더 크고 수중생활을 하기에 알맞다. 머리는 원형이고, 코는 둥글며, 눈은 작고, 귀는 짧아서 주름가죽에 덮여 털 속에 묻혀 있다. 꼬리는 둥글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네 다리는 짧고 발가락은 발톱까지 물갈퀴로 되어 있어 헤엄치기에 편리하며 걸어다닐 때 발가락 전체가 땅에 닿는다. 온몸에 밀생한 짧은 털은 굵고 암갈색이며 광택 있는 가시털로 몸 아랫면은 담색이다. 목 아래와 머리의 양쪽은 회색이고, 귀의 끝은 연한 빛깔이다. 다리·입술의 밑 중앙부에 백색의 반점이 있다.

물이 있는 환경을 가장 좋아한다. 발톱이 약하기 때문에 땅을 파서 보금자리를 만들지 못한다. 야행성이고, 낮에는 보금자리에서 쉬며, 갑자기 위험 상태에 놓이면 물속으로 잠복한다. 외부감각이 발달되어 밤낮으로 잘 보며, 작은 소리도 잘 들을 수 있고, 후각으로 물고기의 존재, 천적의 습격 등을 감지한다.

먹이는 주로 어류이고, 비늘이 있는 것보다 없거나 적은 메기·가물치·미꾸리 등을 잡아먹는다. 개구리·게도 잘 먹는다.

번식기는 1∼2월이며 임신기간은 63∼70일이고, 한배에 2∼4마리를 낳는다. 암컷은 새끼를 낳은 후 50일이 지나야 비로소 물속으로 들어가서 물고기를 잡는다. 새끼들은 6개월간 어미수달과 같이 지낸다.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한국의 경우 과거에는 전국적으로 볼 수 있었으나 모피수(毛皮獸)로 남획되고 하천의 황폐화하면서 그 수가 줄었다. 1982년 11월 16일 전국 일원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2012년 7월 27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수달 본문 이미지 1






수달 본문 이미지 2
[수달의 서식지 : 유럽·북아프리카·아시아]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동영상

수달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족제비과의 포유류.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