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세종

[ 世宗 ]

요약 중국 오대의 후주 제2대 황제. 내정적으로는 농정에 유의하여 권농에 힘쓰는 한편, 국내의 민전, 호구를 조사하여 균세법을 시행하고 조세 부담의 공평을 도모하였으며《대주형통》,《대주통례》등을 편찬케 하여 국가체제를 정비하였다.
출생-사망 921 ~ 959
본명 시영(柴榮)
국적 중국 오대 후주
활동분야 정치

이름 시영(柴榮). 태조(太祖) 곽위(郭威)의 양자. 태조가 죽은 뒤 34세에 즉위하였으며, 오대의 여러 황제 중에서 가장 걸출하였다고 전한다. 직속 상비군인 전전사(殿前司) 및 시위사(侍衛司)를 강화하고 여러 왕조의 통일사업에 착수하여 양쯔강[揚子江] 이북을 거의 통일하였고, 북방의 (遼)나라를 공격하여 위협하였다.

내정적(內政的)으로는 농정(農政)에 유의하여 권농(勸農)에 힘쓰는 한편, 국내의 민전(民田)·호구(戶口)를 조사하여 균세법(均稅法)을 시행하고 조세(租稅) 부담의 공평을 도모하였으며 《대주형통(大周刑統)》, 《대주통례(大周通禮)》 등을 편찬케 하여 국가체제를 정비하였다. 불교를 탄압하여 마음대로 승니(僧尼)가 되지 못하게 하고, 또 주도(主都) 카이펑부[開封府]를 확장하여 대(宋代)의 카이펑부 발전의 기초를 만들었다.

그러나 황제의 자리에 오른 지 불과 6년 만에 병사하였으므로, 그 정책의 중요한 것은 송(宋)나라의 태조 조광윤(趙匡胤)에게 답습되었다. 즉, 송나라의 여러 정책의 발단은 거의 이 세종의 정책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조항목

곽위, 태조, 후주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