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성산동 고분군

성주 성산동 고분군

[ Ancient Tombs in Seongsan-dong, Seongju , 星州 星山洞 古墳群 ]

요약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성주 성산동 고분군

성주 성산동 고분군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산61번지
시대 가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성산리의 북서쪽 능선과 산록에 원형 봉토분들이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는데 현재 59기 고분이 알려져 있다.

1918년과 1920년에 일본인 학자가 1 ·2 ·6호분과 성산동대분 ·팔도분(八桃墳)을 발굴하였으며, 1986~1987년 계명대학 박물관이 38 ·39 ·57 ·58 ·59호분을 조사하였다.

이 중 1호분은 구덩계앞트기식돌방무덤[竪穴系橫口式石室墳], 2호분은 2개이 딸린덧널[副槨]이 있는 구덩식돌방무덤, 6호분은 구덩식돌방무덤이며, 성산동대분은 으뜸(서)-딸린(동)덧널식무덤이며, 8호분은 경주지역에서 보이는 굴식돌방무덤이다.

껴묻거리[副葬品]로는 1호분에서 토기류, 철부, 은제관장식, 금제귀걸이, 은제대구, 고리긴칼[環頭大刀]이, 2호분에서는 토기류와 관못, 손칼, 창, 철부, 철제은장고리가, 6호분에서는 소량의 토기 철기류가 출토되었는데 토기류 중 굽다리접시[高杯]는 엇갈린 2단 투창(透窓)이 뚫린 것이다. 성산동대분에서는 300여 점에 달하는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38 ·39 ·57 ·58 ·59호분은 모두 할석(割石) 혹은 판석(板石)으로 된 구덩식돌방무덤이다. 38 ·39 ·59호분에서는 2인 이상을 매장한 다장묘(多葬墓)로 순장의 흔적을 보여준다. 이들 5기의 고분에서는 토기류, 말갖춤류[馬具類], 꾸미개류[裝身具類] 등 900여 점에 이르는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토기류의 경우, 경주 지역과는 상이한 양식의 것들이다. 이 5기의 고분에서 주목되는 것은 단벽을 길게 보강한 점으로 일제강점기에 발굴되었던 1호분도 이러한 형태일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성주군 내에는 성산동 ·명천동 ·용각동고분군이 있는데 이 중 성산동고분군이 규모가 가장 크고, 또 낙동강 지류의 합류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

참조항목

성주읍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