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West Three-story Stone Pagoda at Seongjusa Temple Site, Boryeong , 保寧 聖住寺址 西 三層石塔 ]

요약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 석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번지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4m, 지대석 너비 2.8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m, 지대석 너비 2.8m.

성주사지에 있는 3개 석탑 중 하나로, 2중기단 위에 신라석탑의 기본형을 가장 잘 계승하고 있다.

지대석은 여러 개의 장대석(長臺石)으로 구성되고 하대석(下臺石)은 4개의 장판석(長板石)으로 되었는데, 하층기단과 상층기단이 모두 중석(中石)과 갑석(甲石)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위에 1매석을 별석(別石)으로 끼웠다. 탑신부는 옥신(屋身)·옥개(屋蓋)가 각각 1석으로 되어 있고 각층의 체감비율은 퍽 건실하다. 상륜부(相輪部)에는 노반(露盤) 1개가 남아 있을 뿐이다.

이 탑은 사지(寺址)에 있는 다른 두 탑에 비하여 각부의 너비가 넓어 매우 장중한 느낌을 주며 비례도 정제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성주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보물 제47호 성주사터에 남아있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으로 성주사 금당터 뒤에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석탑 중 서쪽에 있는 것이다.  바닥의 지대석은 여러 개의 장대석으로 결합하였고 하대석은 4개의 장판석으로 만들었다. 하층기단과 상층기단이 모두 중석과 갑석으로 구성되었다. 탑신부는 옥신석과 옥개석이 각각 1석으로 되어 있고 1층에 비해 2층부터 급격하게 작아진다. 상륜부는 노반만 남아있다. 출처: doopedia